분류 전체보기(82)
-
왜 로켓인가? 로켓 발사 과정 원리 구조
그 큰 로켓이 발사되는 과정을 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하다. 우주를 향해 힘차게 뻗어 올라가는 걸 보면 뿌듯하기도 하고 중간에 터지지 않을까 조마조마하기도 하고 어떻게 저렇게 큰 발사체가 올라가는지 궁 금하기도 하다. 중간에 단 분리를 해서 연료 파트를 떨궈내기도 하는데 왜 그러는지도 궁금하다. 좀 더 알게 될 수록 사물을 이해하는 힘이 커지는 것이 느껴진다. 더 많이 알고 싶고 공부해보고 싶다. 로켓에 적용된 핵심 과학 원리 뉴턴의 운동 법칙. 제 3법칙인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다. 아이작 뉴턴이 누구인지 모두가 알 것이다. 그 유명한 사과나무 아래서 만유인력 법칙과 3가지 운동법칙을 알아낸 사람. 천재 과학자 아이작 뉴턴. 무려 300년 전 발 견했다. 이 법칙은 모든 작용에는 크기가 같고 방..
2023.01.23 -
왜 우주인가? 우주탐사개발 장점 단점 목적
천문학을 파기 시작하니까 근본적으로 왜 우리가 은하의 역사 우주를 왜 알아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다. 우주 개발에 목메는 나라로 생각되면 미국 중국 러시아 정도 생각되는데 왜 우주일까. 이제 지구는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지구에는 한정된 자원이 떨어져가고 여기에 인류애 없이 전쟁까지 일어나고 있으니 환 경 파괴에 기술은 점점 발전하고 있고 충분히 우주에 로켓을 올려 더 많은 자원을 얻을 수 있는 행성에 대한 연 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작년에는 일반일 태운 우주선이 3일동안 우주를 다녀오기도 했다. 나도 돈만 있으면 아니 돈이 있어도 지금은 못가는게 우주여행이지만 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목숨을 걸고 다녀올 것 같다. 우주 관광 산업도 코 앞에 다 가와 있다. 지금의 투자를 보면..
2023.01.23 -
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크리에이터의 세계
안될 과학을 통해서 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 크리에이터의 존재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아마도 우리나라는 생 소하지만 해외에서는 나름 직업으로서 입지가 잡히는 중인 것 같다. 그렇다면 과학을 전공한 사람들에게는 생 계를 걱정하지 않을 새로운 직업의 탄생을 말하기도 한다. 나같이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자들도 과학을 친근하 게 생각할 수 있는 것도 아마도 이런 과학 커뮤니케이터나 크리에이터 덕분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나도 비록 전 공자는 아니지만 나보다 모르거나 나처럼 모르던 사람들에게 좀 더 과학의 세계에 대해서 알려주고 싶은 생각 도 들게 되었다. 과학커뮤니케이터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는 과학으로 의사전달을 하는 사람. 말 그대로 대중에게 대중의 언어로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다. 주로 사이언..
2023.01.23 -
브아걸 6집 basic의 양자역학 세계관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의 물리학적 해석을 보고 나니 이런 천문학 물리학적인 콘셉트의 곡이 없나 찾게 되었 다. 양자역학을 검색하다가 알게 된 브아걸의 양자역학 콘셉트의 앨범들을 보게 되었다. 모호하지만 해석을 보고 나면 그럴듯하고 이런 시도를 했다는 게 새롭게 보이기도 하고 신기하다. 물론 벌써 8년 전이라 오래된 노래이기는 하지만 누가 아는가 윤하 노래처럼 역주행해서 차트에 꽂힐 수도 있다. 신의입자 영국의 피터힉스 박사와 물리학자들이 존재를 처음 발견한 신의 입자는 힉스의 별칭이기도 하다. 그러다가 2012년 거대강입자가속기를 통해 마침내 발견해 내었다. 힉스는 모든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기본입자. 쿼 크와 랩톤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입자 4개와 함께 현대 물리학의 근간이다. 한 때 2개의 사진을 비..
2023.01.22 -
블랙홀의 반대개념인 화이트홀
블랙홀에 대해서 설명을 찾다가 발견한 화이트홀 이야기. 누군가 한번 생각해 볼 만한 이야기인데 실제로 이 런 이론이 있다고 해서 놀라긴 했다. 블랙홀이 모든 걸 빨아들이는 천체라면 내보내는 천체도 있을 것이라는 가정. 정반합이야기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하다. 블랙홀, 화이트홀 그리고 이 둘을 이어주는 웜홀. 그런데 또 이 이론을 알기 위해서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블랙홀에 빨려 들 어간 에너지는 중력에 의해 무한정으로 압축되더라도 질량의 양은 변함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원 중 방출하는 존재도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수학적으로 풀어놓은 개념이라고 한다. 화이트홀 블랙홀의 반대개념으로 모든것을 내보내는 천체가 화이트홀이다. 가정으로만 존재하고 실제 존재 증거는 전 혀 ..
2023.01.22 -
허블, 제임스 웹, 케플러 우주 망원경의 세계
우주 사진들을 보니까 우주 사진들을 찍으려면 사진기가 필요한데 우주를 찍을 만한 사진기면 뭐가 있을까. 망원경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공연에서나 보는 그런 망원경 말고 우주를 전문적으로 찍는 망원경이 필요한데 유튜브를 보다 보니까 3대 우주 망원경이 있는 것이다. 허블, 제임스 웹, 그리고 케플러 우주망원경. 이거 말고도 다양한 우주 망원경이 있는데 공부하는 김에 정리해 보겠다. 허블 우주 망원경 1990년 망원경계에 조상님. 팽창 우주론을 제창했던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파월 허블에서 이름을 따와 허블 우주 망 원경이다. 벌써 30년이 지났지만 대대적인 보수를 짬짬이 거쳐 현재까지도 작동 중이다. 2026년 대기권으로 추락해 소멸할 예정이다. 현시점에 봐도 대단한 망원경인데 쏘아 올린 직후에 뿌..
2023.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