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인 사고방식의 비밀과 다양한 사고법 5가지

2023. 1. 20. 16:43과학이 알고 싶다

728x90
반응형

우리가 늘 하는 얘기가 있다,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선호한다. 이런 얘기를 듣는다면 생각해봐야 한다. 도대체

과학적인 사고방식이란 무엇일까. 과학적인 사고방식은 충분히 과학적인 상식을 갖춘 상태에서 합리적 이성

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런 과학적 탐구에나 실험의 경험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전제와

결론이 맞아야 한다는 것이 우선이다.

 

 

과학적 사고법

 

과학이 가진 다양한 경험과 측정을 바탕으로 현상의 원리를 밝히는 과정이다. 실험을 통해 입증한 가설 각양

각색의 방향에서 바라보는 시각 모두가 과학적 사고법이다. 

예를 들면 네덜란드 출신 과학자 안톤 판 레이우엔훅은 렌즈를 바꿔 끼어서 직접 현미경을 만들었다. 그 현미

경이 현재까지 내려와 그전에는 한 번도 볼 수 없었던 아주 작은 미생물의 세계를 볼 수 있도록 감각의 영역을

크게 확장시켰다.
독일의 로베르트 코흐도 결핵균을 발견하고 노벨상을 타기도 했다. 프랑스 루이 파스퇴르도 병원성 세균을 연

구하다가 질병이 세균땜에 생기는 것이 아닐까 하는 가설에서 시작했던 것이다. 

아무나 시도하지 못했던 무모하기 까지 보였던 도전을 통해 발견을 한 것이다. 또 이런 도전을 했던 사람들 중

에는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실험을 했던 사람들 과학자들도 많다. 

과학적 사고는 기존지식에 대해 의식적으로 반성하는 것이다. 특정지식, 보편지식에 대해 의식적으로 반성하

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사회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고 여기에 YES가 아닌 NO를 말하는 것은 쉽지 않은

사회적 분위기이다. 지식의 정량화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객관성과 측정의 개념이 필요한다. 실제로 재

어 보거나 누구나 실험에도 똑같은 결론에 다다른다는 것이다. 또 지식의 실증적 검토도 필요하다. 예측과 실

험을 통한 검증 과정을 통해 확인을 하는 것이다. 

 

 

비판적 사고법

 

비판적 사고법은 정보를 분석하고 평가해서 제공된 증거와 추론을 한 번 생각해보고 검사해 보고 사실에 대한

판단을 내리게 됩니다. 증거와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은 비슷하나 사회문화적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과학, 비판적 사고법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반성적 사고

 

어떤 행동 뒤에는 냉철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 완벽하게 일처리하는 확률보다 작은 실수라도 하거나 이런 작

은 실수가 모여 큰 실패를 하기도 때문이다. 우리 대부분은 자기 방어 기제가 디폴트로 깔려있기 때문에 숨기

거나 떠넘기거나 다른 사람에게 그 실수를 넘겨버린다.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면 스스로에게서 문제를 찾고

반성을 하며 다음 시도에서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자기 객관화를 계속 실행해 인정 수용한다. 

 

 

맥락적 사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본에 비해 부족한 면이 있다면 이는 바로 맥락적 사고 일 것이다. 맥락적 사고란 제도나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더 큰 관점으로 상대를 사물을 바라보는 사고방식이다. 대게 엘리트 일수록 일머리가

떨어지는 맥락적 사고가 부족한 경우가 크다고 한다. 딱히 사회생활에 불편함은 없지만 융통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사람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맥락과 흐름을 살펴가며 비용과 리소스를 따져서 더 좋은 효과를 내기

위해 맥락적 사고가 필요하다. 

 

 

이미지적 사고

 

예술가로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이 바로 이미지적 사고를 많이 활용했다. 시대의 천재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사고법으로 우뇌가 발달하여 뛰어난 상상과 통찰을 가진 사고법이다. 이미지는 상상력을 자극해 독

창적인 사고를 하 ㄹ수 있게 하고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기 위해 시야를 확대해야만 한다. 또 이런 상상이 독창

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이끄는 것이다. 사용하면 할수록 우뇌적 사고의 힘을 기를 수 있어 음악과 영상을 보며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는 것도 좋다.

 

과학적 사고방식을 포함하여 5가지의 사고법을 살펴보았다. 과학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궁금했

는데 논리적, 다각도적, 실험적 사고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가설과 실험 검증의 과정을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다.

728x90
반응형